김두관, 개헌 내걸고 광주서도 출사표
2025년 04월 08일(화) 11:45 가가
비이재명계, 민주당 첫 대선출마 공식 선언
대선출마를 공식 선언을 한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전 의원이 8일 첫 행보로 광주를 찾았다. 비이재명계 주자로 평가되는 김 전 의원은 민주당에서 첫 대선 출사표를 던졌다.
김 전 의원은 이날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헌을 통해 7공화국을 여는 대통령이 되겠다 ”고 대선출마 선언를 다시 밝혔다.
그는 “승자독식·제왕적 대통령제는 1987년 민주주의의 어두운 그늘로 윤석열의 계엄선포에서 보듯이 과도한 권력 집중이 민주주의와 나라를 위기로 몰아넣었다”면서 “제왕적 대통령, 단원제 국회의 권력을 분산해 권력간 상호 견제와 균형이 실질적으로 작동토록 하고 제1당의 입법권 남용을 제약할 수 있는 개헌을 통해 7공화국을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대선은 호헌 대 개헌의 대결이 될 것”이라면서 “헌법을 개정해 제7공화국을 여는 것이 정치혁명의 길이자, 사회대개혁의 시작”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윤석열 파면으로 혹독한 내란의 겨울이 끝났다”면서 “6공화국 대통령 8명 중 구속되거나 파면된 대통령 4명이 모두 보수 정당 소속이었다”고 진보진영의 정권 교체를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진보진영 완전개방형(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의 국민연합 후보 선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범진보 진영 통합 완전 국민 경선의 도입을 받아들인 것이다.
그는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은 민주주의가 아니고 압도적 승리가가 어렵다”면서 “정권을 교체하더라도 시대적 과제인 국민통합 정치와 개헌을 실천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남해군 이장을 시작으로 남해군수, 행정자치부 장관, 경남도지사, 재선 국회의원을 지내며 진보 실용 정치에서 한 번도 벗어난 적 없다”며 “민주당 당적으로 험지인 경남에서 민주당의 성공을 위해 헌신해 왔고 국민통합·정권교체·개헌을 해낼 적임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광주를 첫 행보로 선택한 이유로 “광주·전남은 민주당의 총 본산으로 역사의 고비마다 큰 역할을 해왔다”면서 “5·18영령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이번 계엄도 막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개헌과 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의 경선과 관련 이재명 당 대표와 입장이 다른 것 아니냐는 질문에 그는 “이 대표의 입장 발표 이후 당내부에서 줄줄이 같은 입장을 내놔 개헌 논의가 난관에 부딪혔다”면서 “이번 계엄사태만 봐도 리더십 문제뿐 아니라 제도적 문제가 있음을 절실히 드러내 반드시 개헌이 필요하다”고 입장을 내놨다.
그는 “민주당이 집권하면 미래의 먹거리인 AI와 그린 에너지 등에 힘 쏟고 있는 광주·전남의 현안에 대해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국가가 국민의 기본 생활과 안전을 책임지는 ‘국민생활보장사회’, 신성장동력·과학기술 투자, 청년기본자산제도, 전국에 서울대학교급 대학 10곳 만드는 교육 혁신, 연방제 수준 자치 분권 등의 공약도 제안했다.
한편 김 전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오월영령에 참배했다.
/글·사진=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김 전 의원은 이날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헌을 통해 7공화국을 여는 대통령이 되겠다 ”고 대선출마 선언를 다시 밝혔다.
그는 “승자독식·제왕적 대통령제는 1987년 민주주의의 어두운 그늘로 윤석열의 계엄선포에서 보듯이 과도한 권력 집중이 민주주의와 나라를 위기로 몰아넣었다”면서 “제왕적 대통령, 단원제 국회의 권력을 분산해 권력간 상호 견제와 균형이 실질적으로 작동토록 하고 제1당의 입법권 남용을 제약할 수 있는 개헌을 통해 7공화국을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윤석열 파면으로 혹독한 내란의 겨울이 끝났다”면서 “6공화국 대통령 8명 중 구속되거나 파면된 대통령 4명이 모두 보수 정당 소속이었다”고 진보진영의 정권 교체를 강조했다.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범진보 진영 통합 완전 국민 경선의 도입을 받아들인 것이다.
그는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은 민주주의가 아니고 압도적 승리가가 어렵다”면서 “정권을 교체하더라도 시대적 과제인 국민통합 정치와 개헌을 실천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광주를 첫 행보로 선택한 이유로 “광주·전남은 민주당의 총 본산으로 역사의 고비마다 큰 역할을 해왔다”면서 “5·18영령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이번 계엄도 막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개헌과 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의 경선과 관련 이재명 당 대표와 입장이 다른 것 아니냐는 질문에 그는 “이 대표의 입장 발표 이후 당내부에서 줄줄이 같은 입장을 내놔 개헌 논의가 난관에 부딪혔다”면서 “이번 계엄사태만 봐도 리더십 문제뿐 아니라 제도적 문제가 있음을 절실히 드러내 반드시 개헌이 필요하다”고 입장을 내놨다.
그는 “민주당이 집권하면 미래의 먹거리인 AI와 그린 에너지 등에 힘 쏟고 있는 광주·전남의 현안에 대해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국가가 국민의 기본 생활과 안전을 책임지는 ‘국민생활보장사회’, 신성장동력·과학기술 투자, 청년기본자산제도, 전국에 서울대학교급 대학 10곳 만드는 교육 혁신, 연방제 수준 자치 분권 등의 공약도 제안했다.
한편 김 전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오월영령에 참배했다.
/글·사진=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