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영의 '그림생각'] (218) 안부
2018년 03월 22일(목) 00:00 가가
불안·초조한 현대인 ‘정말 잘 있을까’
“오래/보고 싶었다//오래/만나지 못했다//잘 있노라니/그것만 고마웠다”〈나태주 작 ‘안부’〉
자고나면 아침에 접하는 뉴스가 ‘경천동지’할 사건·사고이고 보니 가까운 사람들 혹은 오래 소식 나누지 못했던 지인들의 안부가 궁금해지는 요즘이다. 그저 평범하게 살면서 좋은 삶을 향한다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 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최석운 작가(1960∼ )의 ‘나는 잘 있다’(2010년 작)는 최근 영화보다 더 스펙터클하고 드라마보다 더 막장 같은 현실을 헤쳐 나가는 사람들의 일상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너나없이 바쁘게 어딘가를 향하는 소시민들이 각기 가족이나 지인들과 통화하면서 자신의 안부를 전하지만 작품의 제목처럼 “나는 잘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것 같다. 무언가 불안하고 초조한 인물들의 상황은 한쪽으로 몰려있는 눈동자를 통해 과장해서 묘사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잘 있다”라고 말해야 하는 순간은 어떤 상황일까?
최석운 작가는 “소통의 매개체라 할 휴대폰을 들고 누군가를 어디서든 수시로 찾는 현대인들은 어쩌면 소통의 부재함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세태를 건드리고 싶었다”고 말한다. 휴대폰에 매여 이제 더 이상 사적 공간과 사생활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지도 모를 현대사회를 무심하게 관찰한듯하면서도 사소하게 지나치지 않고 깨알처럼 포착하고 있는 작가의 시선이 공감을 준다. 작품 하단에 이 모든 상황을 조소하는 듯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는 개 한 마리의 설정은 관람자들에게 이 장면이 심각한 상황임을 느끼게 하려는 것 같다.
부산 출신으로 양평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가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일상을 유머스럽고 능청스런 화법으로 보여주고 있어 ‘현대의 풍속화가’라 불리기도 한다.
〈광주비엔날레정책기획실장·미술사박사〉
자고나면 아침에 접하는 뉴스가 ‘경천동지’할 사건·사고이고 보니 가까운 사람들 혹은 오래 소식 나누지 못했던 지인들의 안부가 궁금해지는 요즘이다. 그저 평범하게 살면서 좋은 삶을 향한다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 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최석운 작가는 “소통의 매개체라 할 휴대폰을 들고 누군가를 어디서든 수시로 찾는 현대인들은 어쩌면 소통의 부재함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세태를 건드리고 싶었다”고 말한다. 휴대폰에 매여 이제 더 이상 사적 공간과 사생활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지도 모를 현대사회를 무심하게 관찰한듯하면서도 사소하게 지나치지 않고 깨알처럼 포착하고 있는 작가의 시선이 공감을 준다. 작품 하단에 이 모든 상황을 조소하는 듯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는 개 한 마리의 설정은 관람자들에게 이 장면이 심각한 상황임을 느끼게 하려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