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군, 빈집정비사업 추진
2022년 04월 12일(화) 05:00 가가
조합 구성…활용계획 수립
함평군이 범죄발생 우려가 있고 주거환경을 해치는 빈집 정비를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함평군에 따르면 현재 관내 1만8000여 가구 중 빈집은 2400여 동으로 추산된다.
군이 지난 1992년부터 30년간 1444채의 빈집을 정비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마을당 평균 다섯 채의 빈집이 남아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군은 8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 ‘마을정비조합’을 구성해 주민 자율적으로 빈집을 철거하고 나아가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마을정비조합’은 농어촌정비법에 따라 농어촌 마을 정비계획을 고시하면, 이를 추진하는 조직으로 마을의 토지나 건축 소유자들이 조합원이 될 수 있다.
군은 향후 마을별 빈집 실태조사와 활용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73개의 행정리별 ‘마을정비조합’ 조직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특색 있는 마을 개발을 위해 농촌협약, 도시재생 등 기존 국책사업을 활용한 마을 정비계획을 수립해 빈집 정비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함평군 관계자는 “지방소멸대응기금, 고향사랑 기부금 등 신규 재원을 적극 활용하여 주민 스스로 마을카페, 갤러리, 공동작업장 등 문화기반과 소득창출을 도모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함평=한수영 기자 hsy@kwangju.co.kr
함평군에 따르면 현재 관내 1만8000여 가구 중 빈집은 2400여 동으로 추산된다.
군이 지난 1992년부터 30년간 1444채의 빈집을 정비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마을당 평균 다섯 채의 빈집이 남아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군은 8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 ‘마을정비조합’을 구성해 주민 자율적으로 빈집을 철거하고 나아가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군은 향후 마을별 빈집 실태조사와 활용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73개의 행정리별 ‘마을정비조합’ 조직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특색 있는 마을 개발을 위해 농촌협약, 도시재생 등 기존 국책사업을 활용한 마을 정비계획을 수립해 빈집 정비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함평군 관계자는 “지방소멸대응기금, 고향사랑 기부금 등 신규 재원을 적극 활용하여 주민 스스로 마을카페, 갤러리, 공동작업장 등 문화기반과 소득창출을 도모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