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 8개월 앞으로…목포시 손님맞이 준비 한창
2023년 02월 19일(일) 17:15
10~11월 ‘제104회 전국체육대회’·‘제43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열려
1897년 개항 후 목포를 주 개최지로 열리는 첫 국가단위 대축제
‘시민화합·관광문화·경제도약· 행복충만의 체전’ 빈틈없이 준비

전국체전을 여덟 달 앞둔 현재 목포종합경기장은 공정률이 80%에 이르렀으며 올해 6월말까지 주요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전국체전이 여덟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목포시가 오는 10~11월 개최되는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및 ‘제43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개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목포시는 1897년 개항 이후 목포시를 주 개최지로 열리는 최초의 국가 단위의 스포츠 대축제를 시민과 함께 만들어 가겠다는 기본방침을 토대로 ‘전 시민과 함께 양대 체전 성공 개최’를 목표로 세우고 있다. 시민의 힘과 지혜를 모아 함께 준비하는 시민화합 체전, 문화와 예술 및 스포츠와 관광을 다같이 즐길 수 있는 관광문화 체전, 목포발전을 획기적으로 앞당길 수 있는 경제도약 체전, 체육 인프라 확충으로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행복충만 체전 등을 기본 방향으로 빈틈없이 준비하고 있다.

◇ 관광자원과 연계 지역경제 활성화, 스포츠관광도시 위상 높일 계기 마련

지난 2018년 전국체전 개최지로 전남(목포시)이 확정된 이후 지난해 7월 민선 8기가 출범함과 동시에 전국체전추진단을 신설했고, 같은 해 8월 전국체전 준비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각 부서별로 업무를 분담해 분야별로 세부실행계획을 수립해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목포역 광장에서 D-300일 기념행사를 전남도와 함께 개최해 전국체전 목포 개최를 전국에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올 3월에는 운영위원회 구성을 마무리 짓고 출범식을 개최할 예정이며, 이어 범시민추진협의회, 시민서포터즈 발대식 등을 순차적으로 개최해 시민참여 분위기를 조성해 나갈 방침이다.

제104회 전국체전은 오는 10월 3~19일 목포시를 비롯해 전남 22개 시·군, 65개 경기장에서 49개 종목이 분산 개최되며, 제43회 전국장애인체전은 11월3~8일 12개 시·군, 36개 경기장에서 31개 종목이 열린다.

현재 시는 양대 체전의 성공 개최를 위해 목포국제축구센터 인근에서 추진 중인 목포종합경기장 건립공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목포종합경기장은 현 공정률 79%로 전국체전 개·폐회식과 육상 경기가 열릴 예정으로 총 공사비 1148억원(국비 200억, 도비 330억, 시비 618억)을 투입해 지상 3층, 연면적 2만6468㎡, 관람석 1만6468석 규모로 올해 6월까지 주요공사가 마무리될 계획이다.

시는 차질 없는 완공을 위해 매주 시공사, 감리단과의 공정회의를 통해 철저한 공정 관리로 예기치 못한 사항에 대처하는 한편 전기, 통신공사 등 각종 연계 공정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장애인 체육시설인 반다비체육센터 건립도 추진 중이며 각 경기종목이 열리는 국제축구센터, 실내체육관, 실내수영장, 카누경기장, 부주산 체육공원 클라이밍센터 및 테니스장에 대한 개보수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공사 현장을 점검하고 있는 박홍률 목포시장.
◇ 쾌적한 도시 이미지 위해 도심 공원, 꽃길 정비 등 특별 관리대책 수립

시는 체전 기간 목포를 찾는 방문객들에게 쾌적한 도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주요 간선도로, 도심 공원, 대형 벽화, 공한지 정비, 꽃길 정비 등을 포함한 특별 관리대책을 수립한다.

이에 따라 도심 경관 정비에 나설 예정이며, 숙박, 음식점, 대중교통 등 서비스 업종 관련 단체들과 협업으로 손님맞이 친절 캠페인을 지속해서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시는 선수단 및 방문객의 숙박업소 예약 및 바가지 요금 근절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보건위생과, 숙박업회, 소상공인연합회와 주기적으로 간담회를 개최해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매년 가을 개최되는 각종 문화예술행사와 해상케이블카를 비롯한 다양한 관광자원 등과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박홍률 목포시장은 “시민의 힘과 지혜를 모아 준비해 양대 체전을 계기 삼아 목포시가 스포츠관광도시이자 전지훈련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하겠다”라며 “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를 통해 양대 체전의 성공개최를 이루어 목포시가 국제적인 스포츠 도시로 비상하는 계기를 만들자”라고 강조했다.

/목포=장봉선 기자 jbs@kwangju.co.kr
관련기사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