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영농폐기물 공동집하장 신규 설치로 폐기물 처리 나선다
2025년 03월 21일(금) 11:05 가가
폐비닐·폐농약용기류 수거보상금 지급…분리배출 교육
광주시가 불법 소각 매립되는 영농 폐기물을 없애기 위해 공동집하장을 설치한다.
광주시는 농촌지역 환경오염 및 불법소각 등을 방지하고 지역 내 영농폐기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2025 영농폐기물 수거·처리 지원계획’을 수립, 본격 시행한다고 21일 밝혔다.
매년 농사 후 발생하는 영농폐기물은 농촌지역에 민간수거자 운반비 적자, 수거차량 개별 농가 진입 불가 등으로 수거 및 처리가 원활하지 않아 불법소각 등 미세먼지와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꼽혀왔다.
이에 광주시는 ▲영농폐기물 재활용 촉진을 위한 ‘폐비닐·폐농약용기 수거보상금 지급’ ▲영농폐기물 공동수거 기반 구축을 위한 ‘공동집하장 신규 설치’ ▲농촌지역 인식 제고 교육 등을 실시한다.
광주시는 영농폐기물의 수거·보관을 원활히 하기 위한 공동집하장 설치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공동집하장은 영농폐기물만 보관하는 전용 보관시설로써 폐기물이 방치되지 않고, 분리배출을 용이하게해 재활용률 향상에 기여하는 등 꼭 필요한 시설이라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시는 남구 2개, 광산구 4개 등 총 6개 공동집하장을 처음으로 설치해 마을에서 발생하는 영농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수거·보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보관시설 부재로 방치되는 상황을 예방하고자 마을 공터·회관·주차장 등 넓은 장소를 활용해 임시 보관장소를 마련해 이·통장 중심으로 영농폐기물을 거점 수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운영 현황 등을 면밀히 검토해 확대해 나간다는 것이다.
기존 수거보상금 제도는 계속 운영된다.
광주시는 올해 사업비 1억1200만원 투입해 농사 후 발생하는 폐비닐 423t, 폐농약용기 26만7000개 수거를 목표로 자치구, 한국환경공단 등과 협력해 수거보상 사업을 추진한다.
폐비닐의 경우 이물질 함유 등에 따라 4개 등급(A~D)으로 분류해 A~C등급은 ㎏당 120~140원의 수거보상금을 지급한다. D등급은 미지급한다. 폐농약용기는 병류의 경우 개당 100원, 봉지류는 개당 80원을 지원한다.
한국환경공단·농협 등 유관기관과 협조해 농민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수거보상금 제도 등 찾아가는 영농폐기물 교육도 진행한다.
광주시는 아울러 마을 이·통장 회의, 반상회보 등을 적극 활용해 맞춤형 교육·홍보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정미경 자원순환과장은 “영농폐기물은 농촌지역 환경오염의 주범이자 농민들의 골칫거리이다”며 “광주시는 앞으로도 자치구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영농폐기물을 원활히 수거·처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시는 농촌지역 환경오염 및 불법소각 등을 방지하고 지역 내 영농폐기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2025 영농폐기물 수거·처리 지원계획’을 수립, 본격 시행한다고 21일 밝혔다.
매년 농사 후 발생하는 영농폐기물은 농촌지역에 민간수거자 운반비 적자, 수거차량 개별 농가 진입 불가 등으로 수거 및 처리가 원활하지 않아 불법소각 등 미세먼지와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꼽혀왔다.
광주시는 영농폐기물의 수거·보관을 원활히 하기 위한 공동집하장 설치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공동집하장은 영농폐기물만 보관하는 전용 보관시설로써 폐기물이 방치되지 않고, 분리배출을 용이하게해 재활용률 향상에 기여하는 등 꼭 필요한 시설이라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시는 남구 2개, 광산구 4개 등 총 6개 공동집하장을 처음으로 설치해 마을에서 발생하는 영농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수거·보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올해 사업비 1억1200만원 투입해 농사 후 발생하는 폐비닐 423t, 폐농약용기 26만7000개 수거를 목표로 자치구, 한국환경공단 등과 협력해 수거보상 사업을 추진한다.
폐비닐의 경우 이물질 함유 등에 따라 4개 등급(A~D)으로 분류해 A~C등급은 ㎏당 120~140원의 수거보상금을 지급한다. D등급은 미지급한다. 폐농약용기는 병류의 경우 개당 100원, 봉지류는 개당 80원을 지원한다.
한국환경공단·농협 등 유관기관과 협조해 농민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수거보상금 제도 등 찾아가는 영농폐기물 교육도 진행한다.
광주시는 아울러 마을 이·통장 회의, 반상회보 등을 적극 활용해 맞춤형 교육·홍보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정미경 자원순환과장은 “영농폐기물은 농촌지역 환경오염의 주범이자 농민들의 골칫거리이다”며 “광주시는 앞으로도 자치구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영농폐기물을 원활히 수거·처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