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선택 아닌 필수 - 마성간 전남도 식량정책팀장
- 황금 물결로 일렁거려야 할 들녘 곳곳에 구멍들이 생겨났다. 벼멸구가 벼 줄기에 구멍을 뚫고 즙을 빨아 고사시켰기 때문이다. 설…
- 사랑을 전하는 출산맘 나눔가게 - 장우철 광주재능기부센터 센터장
- 우리나라 사회적 문제 중 심각하게 받아 들여야 할 사안 중 하나가 아마도 저출산 문제가 아닌 가 싶다. 2023년 기준 가임여…
- 광주 아트페어, 수요 공급의 균형 - 노희용 광주문화재단 대표이사
- 갤러리나 미술관에 가는 길은 늘 즐겁다. 일상에선 느끼기 힘든 알 수 없는 설렘이 가슴에 차오르며 예술이 건네는 위로와 마주한…
- 곡성군수 재선거, 갈등 넘어 소통·화합의 계기로 - 이유리 곡성군 선거관리위원회 주무관
- 인간은 갈등의 존재이기에 인간사회에서 발생하는 갈등은 필수불가결한 사안이다. 하지만 폭력과 파괴를 유발하는 갈등은 국가 간 전…
- 우리를 슬프게 하는 현실들- 박안수 남광주농협 사외이사, 경제학박사
- 독일의 안톤 시나크는 우는 아이는 우리를 슬프게 한다고 했다. 초가을 햇살이 내리쬐는 정원 한 모퉁이에서 오색영롱한 깃털의 작…
- 건강한 숲, 가치있는 숲을 위해 - 윤병선 사단법인 숲속의 전남 자문위원장(임학박사)
- 우리나라 국토는 약 63%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귀중한 자원을 일터, 삶터, 쉼터로 활용하며 다음 세대에 아름답고 건…
- GGM 광주, 얼마나 건강한가 - 탁인석 전 광주문인협회장
- 전라북도가 전라북도특별자치도로 행정명이 달라졌다. 무언가 특별한 변화가 느껴진다. 한국의 경제계 판도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짜여…
- 충장축제로 우리는 대동 세상을 이룬다 - 임 택 광주 동구청장
- ‘변성기에 접어든 아이들의 목청은/영판 엉망이다/가락이며 음정은 고사하고/기본적인 박자조차 따라주지 못한다/그러나 그들의 목청…
- 2024여름 ‘이 또한 통쾌하지 아니한가’ - 곽성구 전 광주일고 교사
- ‘올해가 제일 덥지 않을 거다’는 기상 예보는 반갑지가 않다. 이렇게 견디기 힘든 날씨가 계속되고 9월인데도 폭염 주의보가 계…
- 학교 폭력 제발 멈춰!- 홍기월 광주시의원
- 얼마 전 일상을 공유하는 지인으로부터 문자를 받았다. 중학교 3학년인 막내아들이 동급생들에게 지속적인 학교폭력에 시달려왔다는 …
- 차(車)를 만나면 손을 들어 소통해요 - 김미순 전남도 안전정책과장
- 해마다 이맘때면 4년전 돌아가신 시어머니가 생각나 눈시울이 젖는다. 시어머니는 추석마다 내 주먹만한 송편을 빚고, 문어를 삶고…
- 스님과 함께 한 짧은 여행 - 이중섭 소설가
- 강화도에 문학기행을 다녀왔다. 한 문우의 초대로 스님이 한 분 참여했다. 삼십 살쯤 되어 보이는 비구니 승이었다. 버스 안에서…
- 민생 시름 덜어줄 ‘생활안정지원금’- 문인 광주시 북구청장
- 지난달 막을 내린 파리 올림픽에 1976년 몬트리올 대회 이후 최소 규모로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144명)들이 2008년 베이…
- 9월 동행축제로 지역경제에 활기를 - 조종래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 추석이 어느덧 성큼 다가왔다. 추석은 설날과 함께 가장 큰 민족 대명절로 그 동안 떨어져 지낸 가족들이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여…
- 초등의대반과 기득권 교육 - 김춘식 동신대 교수, 전 국가교육위원회 전문위원
- 사교육 시장이 다시 한 번 요동치고 있다. 바로 ‘초등의대반’ 때문이다. 초등학교 5~6학년부터 의대를 목표로, 중고등학교 수…
- 공원은 공원답게, 시민은 시민답게 - 박남국 하남공단 광신스크랩 이사
- 아름다운 무지개 다리를 품은 광주비엔날레공원 안에는 비엔날레 국제전시장과 예향 광주를 채워주는 시립미술관, 조상의 발자취를 늘…
Copyright © 2016 광주일보. All Rights Reserverd.